리니어 인코더

선형 인코더는 직선 변위를 전기 신호(디지털 또는 아날로그)로 변환하는 장치로, 테이블, 슬라이드 또는 공작물의 직선 운동을 직접 측정합니다. 이는 CNC 공작기계, 좌표 측정기(CMM), 반도체 장비 및 첨단 자동화 플랫폼에서 핵심적인 위치 센서로 사용됩니다. 볼스크류/랙을 통한 간접 계산 방식에 비해, 선형 인코더는 ‘직접 측정’을 제공하여 볼스크류 열팽창, 백래시 및 구동 오차가 위치 정밀도에 미치는 영향을 크게 줄여줍니다.


선형 인코더란 무엇인가 (What is a Linear Encoder)

선형 인코더는 스케일(Scale/Rule)리드헤드(Readhead)로 구성됩니다. 스케일에는 주기적인 패턴(광학 격자, 자기 격자, 유도 패턴 등)이 있으며, 리드헤드는 규정된 간격을 유지하며 이동하면서 위치 정보를 읽고 전기 신호를 출력합니다. 출력 형식에 따라 증분형(Incremantal)절대형(Absolute)으로 나뉘며, 검출 방식에 따라 광학식, 자기식, 유도식, 정전용량식으로 분류됩니다. 구조적으로는 개방형(Open-type)밀폐형(Sealed/Enclosed)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작동 원리 (Working Principle)

광학식 (Optical)

자기식 (Magnetic)

유도식 (Inductive)

정전용량식 (Capacitive)


유형 및 구조 (Types & Constructions)

1) 출력 신호에 따른 구분

2) 구조와 보호 등급에 따른 구분

3) 스케일 재질 및 형태


출력 및 인터페이스 (Outputs & Interfaces)

구분 출력 방식 주요 용도
증분 펄스 A/B(+Z), TTL/HTL, RS422 PLC 고속 카운터, 속도/위치 제어 루프
사인/코사인 1 Vpp, 11 μApp 고해상도 보간 (세분화 ×4 ~ ×10,000 이상)
절대 직렬 SSI, BiSS-C, EnDat 2.2 절대 위치 신호, 진단, 온도/상태 데이터
Fieldbus/Ethernet CANopen, EtherCAT, PROFINET 다축 동기화, 원거리 전송, 온라인 진단

최대 출력 주파수 예시 (증분 펄스):
f_max ≈ (V / Pitch) × Edges_per_cycle


주요 사양 (Key Specifications)

항목 의미/범위 비고
분해능(Resolution) 5 μm → 0.1 μm(자기식/강철); 1 μm → 1 nm(광학/간섭식) 보간 배율에 따라 달라짐
선형 정확도(Accuracy) ±3 ~ ±10 μm/m(자기식); ±1 ~ ±3 μm/m(광학 고급형) μm/m 또는 ppm 단위
반복성(Repeatability) < ±0.1 ~ ±0.5 μm(고급 광학) 설치 및 환경에 영향
세분화 오차(SDE) ±20 ~ ±80 nm(고급 1 Vpp 시스템) 보간 과정의 주기적 오차
지터/노이즈(Jitter/Noise) 수십 nm 수준 아날로그 회로 및 전원 노이즈에 영향
참조점 단일/거리 부호화/양방향 원점 복귀 및 기준 설정
측정 길이(Measuring Length) 0.1 m → 30+ m 초장거리 시 보상 필요
설치 간극(Ride Height) 0.1 ~ 1.0 mm pitch/roll/yaw 허용 포함
CTE 유리/세라믹: ~0.5–2 ppm/K; 강철: ~10–17 ppm/K 온도 보상 전략 결정
보호 등급(IP) IP40(개방형) → IP67(밀폐형) 오일미스트/냉각수/분진 고려

설치 및 기하학적 오차 (Installation & Geometric Errors)


교정 및 보상 (Calibration & Compensation)


다른 기술과 비교 (Comparisons)

기술 장점 한계 적용 예시
선형 인코더(광학) nm급 분해능, μm/m급 정확도, 우수한 동특성 오염/결로에 민감, 설치 요구 높음 CNC, CMM, 반도체
선형 인코더(자기식) 오염 강인성, 설치 허용도 큼, 장거리 측정 정밀도/분해능 제한 자동화, 중공업
레이저 간섭계 최고 정밀도, 추적성 보장 고비용, 환경 민감 교정 및 계측
LVDT/와전류 센서 견고, 단거리 반복성 우수 범위 제한, 선형도 낮음 스트로크 제한, 정밀 제어
회전 인코더+볼스크류 저비용, 성숙한 기술 열팽창/백래시/피치 오차 영향 큼 중저정밀도 위치 제어

적용 사례 (Applications)


유지보수 및 트러블슈팅 (Maintenance & Troubleshooting)

일상 점검

자주 발생하는 문제

증상 원인 해결 방법
신호 손실/펄스 누락 간극 초과, 자세 불량, 오염 리드헤드 높이·자세 조정, 스케일 청소, 강성 확인
지터/세분화 오차 큼 아날로그 노이즈, 접지 불량 차폐/접지 개선, 고품질 전원·케이블 사용
큰 선형 오차 스케일 장력 잔류, 온도 보상 없음 플로팅 재설치, 교정 및 에러맵 적용
절대 통신 오류 SSI/BiSS/EnDat 파라미터 불일치 타이밍·폴라리티·CRC 확인, 케이블 임피던스 점검
참조점 불안정 오염 또는 잘못된 설정 마크 청소, 참조 전략 및 파라미터 확인

표준 및 참고 (Standards & References)

참고: 표준 적용은 장비·산업별로 다르며, 반드시 제조사 매뉴얼과 실제 환경을 검토해야 합니다.


선택 가이드 (Selection Guide)

  1. 정밀도 목표: 시스템 위치·반복 정밀도 및 허용 선형 오차(μm/m) 결정
  2. 원리 선택: 청정/초정밀 → 광학, 오염·진동·장거리 → 자기·유도
  3. 출력·인터페이스: 속도 루프는 증분형, 다축·고정밀 → SSI/BiSS/EnDat 또는 EtherCAT
  4. 기계·설치 조건: 길이, 스케일 재질, CTE, 간극·자세 허용, 고정 방식(플로팅/접착/클램프) 확인
  5. 환경·보호: 냉각수/분진/온도 변화 → 밀폐형·적절한 IP, 에어퍼지·브러시 계획
  6. 보상·진단: 오차 맵핑, 온도·상태 모니터링, 온라인 진단·알람 지원 여부 확인
  7. 전체 수명 주기: 케이블·리드헤드 교체 용이성, 부품 공급, 교정·서비스 체계

선형 인코더의 원리·구조·설치 요건을 이해하고, 오차 모델링·열 보상·표준화 검증 절차를 결합함으로써 엔지니어링 팀은 복잡한 산업 환경에서도 고정밀·장수명·진단 가능한 직선 위치 및 속도 제어를 구현할 수 있습니다.